ТЕНДЕНЦИИ УПОРЯДОЧЕНИЯ МЕДИЦИНСКОЙ ТЕРМИНОЛОГИИ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
Аннотация
Список литературы
1. 강 종 명.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정비 방향. 2013. P. 86-89.
2. 박준,박형 우. 제중원에 서 «약물학 상권(무기 질)»의 번 역 과 그 의 미. 의 사학 제 20권.제2호. 대 한의 사학회. 2011. P. 327-351.
3. 박형우. 우리나라 근대의학 도입 초기의 의학 서적 - 제중원, 세브란스의 학 교에서 간행된 의학교과서. 의공학회지 7 권 2 호 1998. P. 62-77.
4. 여인석. 한말 의학교과서 출판과 그 의미. 연세의사학 제9권제 1호. 2005. P. 86-91.
5. 의 회 철, 송영 빈, 정 인혁. 아름다운 우리 말 의 학전문용어 만들기. 커 뮤니 케이 션 북스, 서울, 2013, 368 p.
6. 정영란.의학전문용어의 어휘론적 연구. 충북대학교,청주시 2014.
7. 지제근. 의학 용어 순화의 실태와 문제점. 새국어생활 제21권 제2호. 2011. P. 105-121.
8. 황 건. 의 학 용어 의순화와 미 래. 새국어생활 제 17권 제 1호 2007. P. 25-39.
9. Terms Medical Association Committee [Electronic resource]. URL: http://term. kma.org/medical_dic_/medical_dic_5th.aspx (accessed 2015.07.01).
Рецензия
Для цитирования:
Шурипа С.В. ТЕНДЕНЦИИ УПОРЯДОЧЕНИЯ МЕДИЦИНСКОЙ ТЕРМИНОЛОГИИ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. Вестник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област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. 2015;(3):24. https://doi.org/10.18384/2224-0209-2015-3-986
For citation:
Shuripa S... TENDENCY OF MEDICAL TERMINOLOGY SYSTEMATIZATION IN KOREAN. Bulletin of Moscow Region State University. 2015;(3):24. (In Russ.) https://doi.org/10.18384/2224-0209-2015-3-986